Back To Top

NEWS
기획기사
“기후위기 대응 키워드는 완화·적응·재원·협력”
2021.06.10

존 머튼 COP26 특사 연설
기후비상사태, 공공재원 투입해서라도
수 조원 단위의 민간금융 물꼬 터줘야

 

캡처.JPG

 

“2020년부터 2030년까지의 10년은 파리협정 이행을 위한 결정적 시기입니다. 이를 위해선 완화, 적응, 재원 그리고 협력을 달성해야 합니다.”

 

존 머튼(사진)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6) 특사는 10일 서울 노들섬에서 열린 제1회 ‘H.eco 포럼(헤럴드환경포럼)’에서 “기후비상사태인 지금, 지역과 국가 및 국제적 사회에서 조속한 기후행동의 필요성을 알려야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초국가적 기후대응’을 주제로 연설에 나선 머튼 특사는 첫 번째 키워드로 ‘완화’를 꼽았다. 전 세계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것을 의미한다.

 

그는 “지구온난화를 1.5도 이내로 제한하려면 전 세계 국가가 2050년까지는 온실가스 순 배출량을 ‘0(제로)’로 만들어야 하고 2030년까지는 배출량을 지금의 절반으로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탄소배출량을 줄이면 국가 경제가 큰 타격을 입을 것이란 우려에 대해서도 영국의 사례를 들며 반박했다. 영국은 1990년 이후로 탄소 배출량을 45%나 감축했지만 경제 규모는 오히려 78%가 커진 바 있다. 이같은 성장세는 G7 국가 가운데서 두 번째로 빠르게 성공한 수치다.

 

영국은 2024년을 기점으로 석탄발전을 통한 전력 생산도 전면 중단한다. 머튼 특사는 “한국을 포함한 세계 주요 석탄 사용국가들도 향후 10년 동안 영국과 비슷한 진전을 이뤄가며 석탄 사용을 단계적으로 줄여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적응’은 두 번째 목표다. 변화하는 기후에 적응하는 것을 말한다. 머튼 특사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도 기후는 이미 변화하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 변화할 것”이라며 “이러한 기후변화 속에서 사람과 자연을 보호해야하는 것이 우리의 두 번째 목표다”고 설명했다.

 

인간의 활동으로 이미 지구 기온은 산업화 이전보다 1도 이상 올랐다. 이에 따라 이상 기후는 점점 더 자주, 그리고 더 극단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그는 각국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머튼 특사는 “각국 정부는 지역사회와 동식물 서식지를 보호하는 등 기후변화가 가져올 파괴적 충격에 대한 적응을 돕도록 적절한 조치를 조속히 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선 자금도 필수적이다. 머튼 특사가 세 번째 키워드로 ‘재원’을 강조한 이유다. 그는 기후위기 극복을 위해서라면 공공재원을 투입해서라도 수조원 단위의 민간 금융의 물꼬를 터줘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 정부, 은행, 투자자들이 재정적인 결정을 내릴 때 반드시 기후변화를 고려하게끔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영국이 만들어낸 좋은 모델을 소개했다. 머튼 특사는 “영국은 2023년부터 모든 상장기업의 기후 관련 재무정보를 의무적으로 공시하기로 했다”며 “다른 국가들도 영국의 행보에 동참해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머튼 특사는 마지막 목표로 위 세 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 될 수 있는 ‘협력’을 제시했다. 전 세계 각국 정부와 산업계, 금융계, 학계 모두가 함께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가오는 COP26에서도 성공적인 협상을 이끌어내려면 각국 정부 간 합의가 필수다. 기업들 협력도 절실하다. 국내 일부 기업도 기후변화 대응 동참에 잰걸음이다.

 

머튼 특사는 “한국에선 신한금융그룹과 KB금융그룹이 ‘탄소중립을 위한 글래스고 금융동맹’에 창립 멤버로 가입한 것을 높이 평가한다”고 언급했다.

 

박이담 기자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210610000669&ACE_SEARCH=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