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To Top

NEWS
기획기사
코로나가 불러온 ‘친환경 경제’ 대전환
2021.09.23

대기오염물질 급감...생생해진 하늘·사물
세계 각국 ‘친환경 구조조정’ 박차 계기로

20210923000416_0.jpg

 

이달 초 유엔 세계기상기구(WMO)가 홈페이지에 내건 인도 전쟁기념관 사진이 화제가 된 바 있다.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전인 2019년에는 뿌연 미세먼지가 가득해 가까스로 사물의 형체만 확인할 수 있었지만, 코로나19가 발생한 후인 지난해 4월에는 푸른 하늘과 나무, 건물의 색조까지 선명하게 드러나 있었다. 인도 정부가 코로나19 확산을 막으려고 전국민 자가격리를 실시하자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공기가 깨끗해지는 효과가 나타난 것이다.

 

WMO는 전세계 25개국, 63개 도시의 540개 이상 지역에서 주요 대기오염물질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이산화질소(NO10)는 2015~2019년에 비해 최대 약 70%, 평균 초미세먼지(PM2.5) 농도는 30~40%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산화황(SO10) 농도는 모든 지역에서 2015~2019년보다 지난해 25~60% 가량 낮았고, 일산화탄소(CO) 수준도 모든 지역에서 더 낮았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다.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해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는 19㎍/㎥로, 2019년 23㎍/㎥보다 크게 감소했다.

 

물론 이는 코로나19로 경제활동을 희생해 얻은 일시적 현상일 뿐이라고 평가절하할 수도 있지만, 환경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무의미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계기가 됐다. 몰 몽크스 레스터대 대기오염학 교수는 “미래에 저탄소경제를 실현할 때 겪을 일들을 지금 미리 체험하고 있는 것”이라고 평했다.

 

더욱이 세계 각국은 코로나19 경제 위기를 계기로 산업 자체를 친환경적으로 구조조정하는 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른바 ‘친환경 회복’(Green Recovery)이다. 친환경에 대한 요구는 이전부터 있었지만, 이윤이나 경제성장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인식에 발목이 잡혀 있었다. 그러나 이제는 친환경이 코로나19로 무너진 경제에서 탈출할 ‘출구 전략’으로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친환경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미국은 지난달 1조2000억 달러(1405조 원)의 기반시설 투자 예산안을 통과시켰다. 예산에는 ▷친환경 에너지 전환 730억 달러 ▷기후변화 대응 500억 달러 ▷화석에너지 인프라 정화 210억 달러 ▷전기차 150억 달러 등 친환경 예산이 대거 포진해 있다. 미국은 현재 자국 전략 생산에서 4%에도 못 미치는 태양광 에너지 비중을 2035년까지 40%로 높일 계획이며, 2030년까지 판매되는 모든 신차의 절반이 전기차 등 친환경차가 되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유럽연합(EU)도 2021~2027년 경제회복정책 예산안 1조8000억 유로(약 2488조 원) 중 30%를 기후변화 대응에 할당했으며, 나머지 예산도 2050 탄소 중립 목표에 역행해서는 안된다는 제한을 뒀다. EU는 예산을 활용해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1990년 대비 55% 감축한다는 계획이다. 당초 40% 감축하기로 한 목표를 올려잡은 것이다.

 

유엔 ‘지속가능한 에너지 부문’ 특별대표를 지낸 레이철 카이트 미국 터프츠대 플레처스쿨 학장은 뉴욕타임스(NYT)에 “코로나19 대유행으로 경제 재앙과 엄청난 일자리 감소가 초래되면서 기후변화는 급속히 의제에서 벗어났다”며 “그러나 이제는 코로나19 사태가 지속가능한 경제 회복과 일자리 창출의 기회를 가져다줄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훈 기자

paq@heraldcorp.com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210923000460&ACE_SEARCH=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