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To Top

FORUM

예정

[H.eco Forum 2024] The Transition: Blue, Clean, and Green
2024.03.14

에코포럼_KV_최종_3_포럼-행사-페이지-썸네일용-960x600.jpg

 

 2024등록배너.jpg

Introduction & Program

 

2015년 파리기후협약 이후 전세계의 공통 목표로 대두된 ‘넷제로’. 시간이 지날수록 목표 달성을 위한 이행 과제들은 강도가 높아지고 긴박해지고 있습니다.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화석연료에 의존하던 글로벌 에너지 시스템 대전환이 급선무입니다. 

2050 넷제로 이행과 효율적이고도 신속한 에너지 전환 대응을 위해 H.eco Forum 2024에서는 “The Transition: Blue, Clean, and Green" 을 주제로 정부•기업•시민 활동가 각각의 목소리를 통해 기후위기 극복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에너지 대전환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 행사명 : H.eco Forum 2024  

■ 일   시 : 2024년 5월 22일(수) 09:00

■ 장   소 : 반포 세빛섬 가빛 2층 FIC 컨벤션홀

■ 주   제 : The Transition: Blue, Clean, and Green

■ 주   최 : ㈜헤럴드

 

Since the 2015 Paris Climate Agreement, “Net Zero” has become a common goal for the global community. Throughout the course of time, implementation progress on this goal has become more urgent and intense. In particular, in order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the global energy system must be transformed away from fossil fuels. 

To reach the 2050 Net Zero goal and respond to the energy transition efficiently and quickly, H.eco Forum 2024 will serve as an open platform for governments, businesses, and civil activists to share insights on overcoming the climate crisis and engage in cooperative discussions for joint responses, under the theme of “The Transition: Blue, Clean, and Green”. 

 

■ Event Title : H.eco Forum 2024              
■ Date : May 22 (Wed), 2024 l 09:00 (KST)
■ Venue : 2F Gavit FIC Convention Hall, Some Sevit, Seoul
■ Theme : The Transition: Blue, Clean, and Green
■ Host : Herald Corporation     

 

 

프로그램표0416.jpg

 

                          

 

 

  

 

김상협400흑백.jpg

 

 Congratulatory Remarks

김상협 /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공동위원장

KIM Sang-Hyup / Co-Chairperson, Presidential Commission on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김상협교수는 2022년부터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공동위원장이며, 한국과학기술원(KAIST) 부총장으로서 녹색성장지속발전 자문역을 맡고 있다. 2008년부터 대통령실 미래비전비서관과 녹색성장기획관 등을 역임하며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의 기틀을 마련했다. 윤석열 정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참여하면서 기획위원회 기후에너지팀을 이끈 바 있으며, 다보스포럼에서 글로벌 어젠더 위원을 역임하는 등 탄소중립 녹색성장 정책 전문가로서 국내외에서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Professor KIM Sang-Hyup has been serving as the Co-Chairperson of the 2050 Presidential Commission on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since 2022 and is currently working as the Vice President and Advisor on Green Growth and Sustainability at the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Since 2008, he has served as the Principal Secretary to the President for Future Strategy and Planning during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Additionally, he served as the Senior Secretary to the President for Green Growth, laying the foundation for low-carbon green growth policies. While participating in the Yun Seok-yeol administration's Presidential Transition Committee, he led the Climate and Energy Team of the Planning Committee and served as a member of the Global Agenda Council at the World Economic Forum, continuing his active engagement as an expert in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policie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EU400 흑백.jpg

 

Special Address

마리아 카스티요 페르난데즈 / 주한 유럽연합(EU)대표부 대사

Maria CASTILLO FERNANDEZ / Ambassador of the European Union to the Republic of Korea

 

마리아 카스티요 페르난데즈 대사는 2020년부터 주한유럽연합(EU)대사직을 수행하고 있다. 2016년에서 2020년까지 주말레이시아 EU대사를 지냈으며, 이에 앞선 2012년부터 2020년까지는 브뤼셀 소재 유럽대외관계청(European External Action Service)에서 인도, 네팔, 부탄, 방글라데시 담당 국장을 역임하며 EU-남아시아 관계 전반을 총괄했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는 홍콩과 마카오 특별행정구를 관할하는 EU 사무소장으로 활동했으며, 앞선 2000년에서 2008년까지는 브뤼셀 본부 및 주한EU대표부 공관차석으로서 한반도 EU 정치관계 및 경제협력 사안을 담당했다. 카스티요 페르난데즈 대사는 스페인 마드리드 자치대학교(Universidad Autónoma de Madrid)에서 법학을 전공했으며, 유럽법, 경제학 및 국제관계학 석사 학위를 유럽대학교(College of Europe, 벨기에 소재) 및 유럽학연구소(Institute of European Studies, 프랑스 소재)에서 취득했다. 2008년에는 EU와 남북간 관계 강화에 기여한 공으로 스페인 국왕으로부터 시민훈장(Cruz de Oficial de la Orden del Mérito Civil)을 수여받았다.

 

H.E. Maria CASTILLO FERNANDEZ has been serving as the Ambassador of the European Union to the Republic of Korea since 2020. Previously, she served as the EU Ambassador to Malaysia (2016-2020). From 2012 to 2020, H.E. Castillo Fernandez worked at the headquarters of the European External Action Service in Brussels as the Head of Division for India, Nepal, Bhutan, and Bangladesh, in charge of coordinating the EU’s overall relations with South Asia. From 2008 to 2012 she served as the Head of the EU Office Hong Kong and Macao. From 2000 to 2008, she was in charge of EU political relations and economic cooperation activities with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both with postings in Brussels and as the Deputy Head of Delegation in Seoul.

H.E. Castillo Fernandez completed postgraduate studies in European law, economic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with two masters, one obtained from the College of Europe (Belgium) and the second from the Institute of European Studies (France). Prior to this, she obtained a law degree from the Universidad Autónoma de Madrid (Spain). H.E. Castillo Fernandez was decorated in 2008 with the Cruz de Oficial de la Orden del Mérito Civil by the King of Spain for strengthening relations between the EU and the Korean Peninsula.
                                                                                                                                                    

  

노부오400흑백.jpg

 

Keynote Speech

노부오 타나카 / 前 국제에너지기구(IEA) 사무총장
Nobuo TANAKA / Executive Director Emeritus, The 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

 

노부오 타나카 전 국제에너지기구(IEA, International Energy Agency) 사무총장은 2014년 신조 아베 전 일본 총리가 설립한 시원한 지구를 위한 혁신포럼(ICEF, Innovation for Cool Earth Forum)의 운영위원장이다. 2015년에서 2020년까지는 사사카와 평화재단(Sasakawa Peace Foundation)의 이사장 겸 회장직을 맡았다. 그보다 앞선 2007년부터 2011년까지는 IEA 사무총장으로서 2011년 6월 회원국의 비축유 방출을 이끌었으며, 중국과 인도를 포함한 주요 비회원국과의 관계 강화를 위해 개인적 노력을 기울이는 등 지대한 역할을 수행했다. 1973년 일본 경제산업성(METI, 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한 그는 다자무역체계국장 등 주요 고위직을 역임했다. 또한 워싱턴DC 소재 주미일본대사관의 산업무역에너지 공사로 재직하며 대미 양자무역 사안에 깊이 관여했으며, 파리 소재 국제기구인 OECD의 과학기술산업국장(DSTI, Director for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직을 두 차례 수행하기도 했다. 현재 타나카 글로벌(Tanaka Global) 사의 CEO로서 여러 일본 및 국제기업에 자문을 제공한다. 타나카 전 사무총장은 도쿄대학(University of Tokyo)을 졸업하고 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학교(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에서 MBA를 취득했다. 현재 일본 에너지경제연구소(IEEJ, Institute of Energy Economics) 및 컬럼비아대학교 글로벌 에너지 정책 센터(Center on Global Energy Policy)의 특별연구위원(Distinguished Fellow)으로 활동 중이다. 또한 캐논글로벌전략연구소(CIGS, Canon Institute of Global Studies)에서 차세대 원자력에너지 활용에 관한 연구그룹의 의장을 맡고 있다.  

 

Nobuo TANAKA is Chairman of the steering committee of the Innovation for Cool Earth Forum (ICEF), which was established by former Prime Minister Shinzo Abe in 2014. He was Chairman and President of the Sasakawa Peace Foundation for 2015-2020. As Executive Director of the 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 from 2007 to 2011, he initiated a collective release of oil stocks in June 2011. He also played a crucial and personal role in the strengthening of ties with major non-Member energy players, including China and India. He began his career in 1973 in the 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 (METI), and has served in a number of high-ranking positions, including Director-General of the Multilateral Trade System Department. He was deeply engaged in bilateral trade issues with the US as Minister for Industry, Trade and Energy at the Embassy of Japan, Washington DC. He has also served twice as Director for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DSTI) of the Paris-based international organization, OECD. As CEO of Tanaka Global Inc, he advises several Japanese and International companies. He graduated from University of Tokyo and have MBA from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He is currently a Distinguished Fellow at Center on Global Energy Policy, Columbia University and Institute of Energy Economics, Japan (IEEJ). He chairs Study Group on Next Generation Nuclear Energy Utilization at Canon Institute of Global Studies (CIGS).

 유연철 400 흑백.jpg

 

Session 1. 넷제로를 위한 에너지 전환 (Energy Transition for Net Zero Roadmap)

유연철 /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 사무총장
YOO Yeonchul / Executive Director, UN Global Compact Network Korea

 

유연철 대사는 1987년 외교부에 입부하여 34 년간 외교업무를 수행하였으며, 주제네바대표부 차석대사(2013년) 및 주쿠웨이트대사(2016년)를 역임한 후, 2018년 6월 기후변화대사로 임명되었다. 현재는 2022년 6월 유엔 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 사무총장으로 임명되어 활동하고 있다. 유 대사는 1991년 유엔기후변화협약을 제정하는 기후변화 협상에 최초로 참여한 이후, 지속적으로 환경이슈에 관여해 왔다. 2003년 외교부 환경협력과장, 2008년 에너지기후변화과장으로 기후변화 관련 업무를 담당하였고, 2011년에는 환경부에서 국제협력관(국장)으로 근무하였다. 유 대사는 2010년부터 2011년까지 대통령 직속 녹색성장위원회에서 국제협력팀장으로 근무하면서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를 설립하는데 상당한 기여를 하였으며, 2012년 녹색기후기금(GCF)을 한국으로 유치하는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2013년 주제네바 차석대사로 3년 근무하면서 인권, 군축(약1년) 뿐만아니라 경제, 통상(2년) 담당 대사로서 UN인권이사회 아시아지역 대표 및 WTO분쟁해결기구 등에 적극 참여했었다. 아울러, 유 대사는 2019년부터 UN기후변화협약 이행부속기구(SBI) 부의장으로 선출되었으며, 2021.6월 은퇴전까지 P4G(Parterning for Green Growth & Global Goals 2030) 정상회의 준비기획단 단장을 겸임하였다. 유 대사는 재외공관으로 일본, 몽골, 캐나다(토론토), 베트남등에서 근무했고 2021년 홍조근정훈장, 2012년 근정포장을 포함하여 외교장관.국무총리등 다수의 표창을 받았다.

 

Ambassador Yeonchul YOO has served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for more than 34 years. Prior to his appointment as Deputy Minister and Ambassador for Climate Change in 2018, he served as Ambassador of the Republic of Korea to the State of Kuwait and as Ambassador and Deputy Permanent Representative at the Korean Permanent Mission in Geneva, Switzerland. Ambassador Yoo has been consistently involved in environmental issues since he participated in his first climate change negotiation in 1991. In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he served as Director of Environment Cooperation (2003) and Deputy Director-General of the Energy and Climate Change (2009), and he was the Director-General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e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When seconded to the Presidential Committee for Green Growth from 2009 to 2011, he had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Global Green Growth Institute (2010), which later became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in 2012. Furthermore, he was also involved in hosting the Green Climate Fund in Korea (2012). He became Ambassador for Climate Change in 2018, and had also been serving as the Vice Chair of UNFCCC’s Subsidiary Body for Implementation (SBI) and the Executive Director of 2021 P4G Summit Preparatory Office since 2019, before retiring in June, 2021. Now he is serving as Executive Director of the UN Global Compact Network Korea since June, 2022. He received his Bachelor’s Degree in Political Science & Diplomacy at Yonsei University in Korea, has completed the Foreign Service Program at the University of Oxford, and received his Master’s Degree in International Relations at the University of Reading, in the UK.

 

최연우 국장 400흑백.jpg

 

 Session 1. 넷제로를 위한 에너지 전환 (Energy Transition for Net Zero Roadmap)

 최연우 /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정책실 에너지정책관
CHOI Yeon Woo / Director General for Energy Policy,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최연우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정책관은 2012년 12월 산업부 기후변화산업환경과장을 역임하고 2014년 2월 주광저우대한민국총영사관 상무관으로 재직하였다. 2017년 9월부터 일자리산업혁신과, 신에너지산업과, 기획재정담당관을 역임하였으며, 2022년 10월 재생에너지정책관을 거쳐 2023년 10월부터 에너지정책관으로 재직중이다. 특히 산업부에서 신에너지산업과장, 재생에너지정책관, 에너지정책관을 거치면서 에너지 분야의 전문가로 인정받고 있다.

 

CHOI Yeon Woo, Director for Energy Policy at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 served as Director for Climate Change, Industry and Environment at MOTIE in December 2012, and as Permanent Attaché at the Consulate General of the Republic of Korea in Guangzhou in February 2014. Since September 2017, he served as Director for Job, Industry and Innovation, for New Energy Industry, and for Planning and Finance. He served as Director for Renewable Energy Policy since October 2022 and for Energy Policy since October 2023. In particular, he is recognized as an expert in the energy field, serving as Head of New Energy Industry, Director for Renewable Energy Policy, and Director for Energy Policy at MOTIE.

  

 

이영석 400 흑백.jpg

 

 Session 1. 넷제로를 위한 에너지 전환 (Energy Transition for Net Zero Roadmap)

이영석 /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 기후변화정책관

LEE Young Seok / Director General for Climate Change Polic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Ministry of Environment

 

환경부 이영석 기후변화정책관은 1998년부터 환경부에 근무하면서 환경협력, 자연보전, 기후변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리더십을 발휘해왔다. 2013년부터 2016년까지는 UNEP(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에서 글로벌 환경협력에도 기여한 바 있다. 최근에는 2050 탄소중립 목표의 실질적 이행력 담보, 배출권거래제 고도화, 기후위기 적응 체계 강화, 국제사회에서의 기후 리더십 제고 및 환경협력 강화 등에 역점을 두고 있다.

 

Lee Young Seok, the Director of Climate Change Policy at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s been working at the Ministry of Environment, demonstrating leadership in various fields such as environmental cooperation, nature conservation, and climate change since 1998. From 2013 to 2016, he also contributed to global environmental cooperation while serving at 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 Recently, he has been focusing on ensuring substantial progress towards the 2050 carbon neutrality goal, enhancing the emissions trading scheme, strengthening climate adaptation systems, enhancing climate leadership and strengthening environmental cooperation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홍종호400 흑백.jpg

 

Session 1. 넷제로를 위한 에너지 전환 (Energy Transition for Net Zero Roadmap)

홍종호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

HONG, Jong Ho / Professor of Economics,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홍종호 교수는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기후·환경·에너지경제학 및 지속가능정책을 가르치고 있다.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코넬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한국개발연구원(KDI)과 한양대 경제금융대학을 거쳤다.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원장, 아시아환경자원경제학회(AAERE) 회장, 한국재정학회 회장, 한국환경경제학회 회장, 한국경제학회 부회장, 서울대학교 지속가능발전연구소(ISD) 소장, 대통령 직속 재정개혁특위 위원, 기획재정부 재정정책자문회의 위원, 세계은행 및 아시아개발은행 컨설턴트, (사)에너지전환포럼 상임공동대표,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를 역임했다. 저서 “기후위기 부의 대전환”으로 2023년 제41회 매경 경제경영도서 부문 정진기언론문화상을 수상했다.

 

HONG, Jong Ho is a Professor of Economics and former Dean of th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His teaching and research are focused on climate/environmental/energy economics and sustainable economy and policy. His involvement within the university extends to serving as the former Director of the Environmental Planning Institute and the Institut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fter receiving his PhD at Cornell University, he held research and academic positions at Korea Development Institute (KDI) and College of Economics and Finance at Hanyang University, He also has broad experiences working as a consultant fo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World Bank and Asian Development Bank. He has previously served as the President of the Asian Association of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AAERE), the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Finance, and Korea Environmental Economics Association. His commitment to climate and environmental issues extends to civil society movement, serving as Chairman of the Energy Transition Forum of Korea and Co-President of the Korean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 He is the author of the award-winning book, “Climate Crisis the Great Shift of Wealth.”

 

 

김기홍 400 흑백.jpg

 

Session 2. 에너지의 미래 - Blue, Clean, amd Green (Blue, Clean and Green Energy)

김기홍 / 맥킨지앤드컴퍼니 파트너

KIM Gihong / Partner, McKinsey & Company

 

김기홍 파트너는 서울대학교 기계항공학부를 졸업했다. 2016년에 맥킨지 입사 후 정유, 석유화학, 발전, 건설 등 에너지 영역과 지속가능성 및 투자비 최적화 영역에 중점을 두고 활동을 해왔다. 국내 선도 유틸리티 및 건설사의 수소, 태양광 및 신재생 신사업 전략, 그리고 다수의 정유·화학·반도체 회사의 전사 운영 개선안을 수립하고 실행을 리드했다. 화학·해운 회사 다수의 인수합병 검토, 향후 친환경 비지니스 확대를 위한 전략 수립을 담당하고 주요 O&G(오일&가스) 회사의 유틸리티 신사업 전략 수립을 맡기도 했다. 현재 맥킨지 한국 사무소 운영 (Operation) 프랙티스 리더 역할을 수행 중이다.

 

Gihong Kim, a Partner at McKinsey, gradua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s Department of Mechanical and Aerospace Engineering. Since joining McKinsey in 2016, he has focused on the energy sector, emphasizing sustainability and CAPEX optimization. He has led strategies in hydrogen, solar, and renewable energy for leading utilities and construction companies, and operational improvements in the oil refining, chemical, and semiconductor industries. He has also overseen mergers and acquisitions for chemical and shipping companies and developed strategies for expanding eco-friendly businesses and new utility ventures for major oil and gas companies. Currently, he leads the Operations Practice at McKinsey's Korea office.

 

 

크리스티왕 400 흑백.jpg

 

Session 2. 에너지의 미래 - Blue, Clean, amd Green (Blue, Clean and Green Energy)

크리스티 왕 / 오스테드 대만 의장
Christy WANG / Chairperson of Ørsted Taiwan

 

오스테드 대만 의장인 크리스티 왕은 대만 해상풍력 시장의 관련 사업과 산업 육성을 위한 사업을 총괄하고 있다. 크리스티는 오스테드 대만 총괄로서 재생에너지의 전략적 시장에서 높은 성과를 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17년 크리스티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 내 오스테드 해상 풍력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합류했으며, 가치 있는 네트워크와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활동을 이어갔다. 활동의 일환으로 대만의 기가와트(GW) 급 해상 풍력 포트폴리오를 구축했으며, 일본, 한국, 호주 등 아시아 태평양 지역 내 사업을 성장시키고 친환경 에너지 전환을 촉진했다.

 

Christy is the Chairperson of Ørsted Taiwan. She has overall end-to-end responsibilities to grow the business across the value chain in the market. Christy manages the Taiwan country organization to ensure a high-functioning business platform in a strategic market for renewable energy. Christy joined Ørsted in 2017, bringing valuable network and experience to drive market activities to support Ørsted’s rapidly growing offshore wind business across the APAC region. This includes a multi-GW offshore wind portfolio in Taiwan and supports the company’s growth in APAC markets such as Japan, Korea and Australia, catalyzing green energy transition in the region. Prior to joining Ørsted, Christy acquired profound experience in governmental affairs, marketing and communications, delivering large-scale international and regional projects in UK, Taiwan and the Asia Pacific.

 

 

정규창400흑백.jpg 

 

 Session 2. 에너지의 미래 - Blue, Clean, amd Green (Blue, Clean and Green Energy)

 정규창 / 한화솔루션 큐셀부문 사업지원팀장

JEONG Gyu Chang / Team Manager of Business Supporting Team, Hanwha Solution (QCELLS)

 

정규창 팀장은 세계적인 태양광 기업인 한화솔루션 큐셀부문 한국사업부 사업지원팀의 리더이다. 에너지 민간기업인 OCI 및 SK E&S 계열사인 나래에너지서비스에서 사업개발/운영 업무를 담당했으며, 지방공기업인 서울에너지공사에서 2017년 태양의 도시 서울 조성 프로젝트 계획을 수립했다. 2022년 국내의 태양광 폐모듈 재활용 제도 안착 기여로 환경부 장관상을 수상했으며 동일 연도에 재생에너지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국무총리상 표창을 수상했다.

 

JEONG Gyu Chang is business supporting team manager at Qcells Division of Hanwha Solution, a world-leading photovoltaic company. He was in charge of business development/operations at private energy companies such as OCI and Narae Energy Service, a subsidiary of SK E&S. During his time at Seoul Energy Corporation, a local public enterprise, he established plans for the Solar City Seoul project in 2017. JEONG received the Environment Minister’s Award for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of a solar panel waste recycling policy in 2022 and won a Prime Minister’s award in the same year for his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industry.

 

 

정동욱 400 흑백.jpg

 

 Session 2. 에너지의 미래 - Blue, Clean, amd Green (Blue, Clean and Green Energy)

정동욱 / 중앙대학교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

                   JERNG Dong-Wook / Professor, School of Energy Systems Engineering, Chung-Ang University

 

정동욱 교수는 서울대, KAIST, MIT에서 원자력공학 학·석·박사 학위를 차례로 받았다. 한국수력원자력에서 APR 1400 설계개발 사업팀장을 지내고 2010년 한국연구재단 원자력 단장, 2017년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에너지환경전문위원장을 역임했다. 2021년부터 22년까지 제34대 한국원자력학회 회장으로 역임했으며, 2012년부터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Dr. Dong-Wook JERNG has been working as professor of Energy Systems Engineering School at Chung-Ang University since 2012. He received a Ph.D. in Nuclear Engineering from MIT in 1992. He is currently serving as Steering Committee Chair for the Innovative SMR project of Korea. Before joining Chung-Ang university, Professor Jerng was a director of nuclear R&D program managem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He also worked for the APR1400 project in many positions including project control and licensing at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mpany. For public service activities, he has been a member of advisory board to the national assembly, advising energy policy issues. He served Korean Nuclear Society as president, also served the Energy and Environment sub-committee of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Council as the sub-committee chair, and was a board member of Korea Foundation of Nuclear Safety. Professor Jerng has been working on the safety of nuclear power plants, and Generation-IV nuclear system designs.

 

 

줄리안 400.jpg

 

스페셜 세션 : 우리에게 남은 시간 (Special Talk : The Time We Have Left)

Moderator & Panelist

줄리안 퀸타르트 / 방송인, 現 유럽연합 기후행동 친선대사

Julian QUINTART / Belgian TV personality in Korea, Goodwill Ambassadors for the EU Climate Actions

 

2004년도 벨기에에서 한국으로 온 줄리안 퀸타르트. 본업이 DJ였던 줄리안은 JTBC <비정상회담>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방송인으로 알려졌다. 현재 JTBC의 <톡파원 25시>를 비롯해 다양한 방송에서 활약 중이며, Volunteer Korea (사단법인 주한외국인자원봉사센터) 공동창립자로서 활발한 봉사 활동을 이끌고 있다. 특히 환경에 관심이 많아 방송을 통해 얻은 목소리를 활용해 환경을 위한 많은 활동을 실천 중이다. 2016년 유럽연합 환경행동 친선대사에 임명되어 활동 중이며, 현재 제로웨이스트샵 겸 비건 디저트 카페 ‘노노샵’을 운영하고 있다. 기후위기, 환경, 제로웨이스트, 비건, 채식 등에 대해 솔선수범하며 이에 대한 강연 또한 활발히 하고 있다.

 

Julian Quintart moved to Korea in 2004 from the quaint village of Sur la Heid in Belgium. Initially making a name for himself as a DJ, Julian quickly rose to prominence in South Korea through his appearances on JTBC’s "Abnormal Summit". At present, Julian actively participates in various television shows, including JTBC’s "Talk Pawon 25", and has co-founded the NGO Volunteer Korea to promote and facilitate volunteer activities for foreigners in South Korea. Passionate about environmental issues, Julian has leveraged his broadcasting influence to launch and participate in numerous campaigns raising awareness about environmental concerns. In recognition of his efforts, he was appointed as the European Union Environmental Action Goodwill Ambassador in 2016. Currently, he runs a zero-waste shop and vegan dessert cafe called Nono Shop in Seoul. He actively delivers lectures on climate crisis, veganism, biodiversity, and zero-waste lifestyles, all the while leading by example.

 

김석훈 400 흑백.jpg

 

스페셜 세션 : 우리에게 남은 시간 (Special Talk : The Time We Have Left)

Panelist

김석훈 / 배우
KIM Sukhoon / Actor

 

배우 김석훈은 국립극단에서 탄탄히 내공을 다지며 1998년 SBS 드라마 <홍길동>으로 데뷔했다. 이후 드라마, 영화를 비롯한 연극 및 뮤지컬 무대 등 수많은 작품에 출연했으며, 교양 프로그램 진행, 나레이션 참여 등 다방면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현재는 유튜브 <나의 쓰레기 아저씨>를 통해 매주 환경에 대한 고찰을 나누며 시청자들과 만나고 있다. 2009년 '아름다운 가게' 홍보대사로 임명된 이래, 꾸준히 친환경과 재활용에 대한 관심을 이어온 그는 쓰레기가 우리의 미래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해 탐구한다. 2024년 환경재단 그린컬처 서울국제환경영화제 홍보대사로 임명되었다.

 

After establishing a robust career with the National Theater Company of Korea, Kim Sukhoon made his screen debut in the SBS drama "Hong Gil-dong" in 1998. Since then, he has appeared in numerous works including dramas, films, plays, and musicals. Additionally, he has extended his presence into hosting and narrating educational programs. Currently, he engages viewers with his weekly reflections on environmental matters through YouTube's "My Trash Man." Appointed as an ambassador for “Beautiful Store” in 2009, he has sustained his dedication to eco-friendliness and recycling, exploring the intriguing question of whether trash could hold the key to our future.  In 2024, he was designated as the Festival Ambassador for the 21st Seoul International Eco Film Festival, which is operated by the Korea Green Foundation.

 

 

이슬아 400 흑백_서명.jpg

 

 스페셜 세션 : 우리에게 남은 시간 (Special Talk : The Time We Have Left)

Panelist

이슬아 / 작가, 헤엄출판사 대표

LEE Seula / Director and Publisher, Hey Uhm Publishing House

 

이슬아는 작가이자 출판인이다. 수필, 소설, 칼럼, 인터뷰, 서간문, 서평, 드라마 각본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글을 쓴다. 칼럼집 <날씨와 얼굴>을 통해 기후위기와 동물권 등에 관해 꾸준히 목소리를 내왔다. 비건을 지향한다.

 

LEE Seula is a writer and a publisher. She writes across various genres that include essays, novels, columns, interviews, letters, book reviews and drama scripts. She has consistently been speaking out on the issues of climate change and animal rights through "Weather and Face" , a collection of her columns. Lee follows a vegan diet.

 

 

금자400흑백.png

 

스페셜 세션 : 우리에게 남은 시간 (Special Talk : The Time We Have Left)

Panelist

고금숙 / 알맹상점 공동대표

KO Kumsook / Co-representative of Almang Market

 

15년 간 환경단체에서 일하면서 화장품 미세플라스틱 금지 법 개정과 일회용 생리대 유해물질 이슈화 등을 성공시켰다. 2018년 동네 망원시장에서 만난 쓰레기 덕후들과 '알맹이만 찾는 자(알짜)'라는 환경 커뮤니티를 만들었고, 2020년 국내 최초 리필스테이션 '알맹상점'을 열었다. 2024년 수리할 수 없는 세상을 수리하기 위해 리페어카페 '수리상점 곰손'을 시작했다. 개인적 실천과 사회적 전환을 잇는 활동을 고민하며, 동네에서는 사장님으로, 환경단체에서는 유해물질 활동가로 일하고 있다.

 

Working for environmental organizations for 15 years, KO Kumsook contributed to the revision of the law that prohibits the use of microplastics in cosmetics and successfully brought to light issues on harmful substances in disposable sanitary pads. She created an environment community, "Alzza"  with local trash enthusiasts she met in Mangwon Market in 2018, and opened "Almang Market",  the first refill station in Korea, in 2020. In 2024, she started a repair café, "Gomson"  to help with the irreparable damage being done to the world. Ko works as a shop owner in her neighborhood and as a hazardous material activist in environmental organizations, trying to figure out what activities can bridge personal practices and social transformation. 

EU400.jpg

 

기후 중립과 글로벌 파트너십을 향한 EU의 청정 에너지 전환 노력

EU’s Clean Energy Transition towards Climate Neutrality and Global Partnership

마리아 카스티요 페르난데즈 / 주한 유럽연합(EU)대표부 대사

Maria CASTILLO FERNANDEZ / Ambassador of the European Union to the Republic of Korea

 

최근 유럽에서 폭염, 산불, 홍수, 가뭄 등 기후 관련 재해가 빈발하면서 기후 위험이 고조되자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즉각적인 조치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사실이 주목받고 있다. 지난 3월 발표된 유럽 기후 위험 평가(European Climate Risk Assessment)에 따르면 유럽의 온난화는 전 세계 대비 두 배 빠른 속도로 진행중이며, 최상의 시나리오를 가정하더라도 3도 기온 상승이라는 엄중한 현실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관련 조치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시급한 상황 속에서도 전 세계 에너지 공급의 80%를 차지하는 화석 연료는 여전히 온실가스 배출의 주 요인으로 굳건히 자리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2050년까지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 기후 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유럽 그린 딜 프레임워크(European Green Deal framework)에 기반을 둔 야심 찬 정책 과제들을 주도하고 있다. 유럽기후법과 ‘Fit for 55’ 패키지를 포함한 주요 입법 조치는 지속 가능한 청정 에너지 전환을 통해 2030년까지 순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소 55% 감축하겠다는 EU의 약속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 전환 노력의 중심에 있는 것이 REPowerEU 계획이다. 이는 에너지원 다각화 및 약3천억 유로 규모의 재생에너지 투자를 통해 유럽의 청정에너지 전환을 가속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EU는 2030년까지 에너지 믹스에서 재생에너지의 비중을 45%까지 늘리겠다고 약속하며 지속가능 에너지로의 대대적인 전환을 예고하고 있다. 

특정 국가에 국한되지 않는 기후 위기의 특성을 강조하며, EU는 파트너 국가들과 함께 기후 외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특히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UNFCCC COP)와 같은 국제회의에서 EU는 화석연료를 단계적으로 퇴출하고 전 세계적으로 재생 에너지를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었다. EU의 목표는 ‘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효율에 관한 글로벌 서약’과 같은 이니셔티브를 통해 기후 중립을 향한 전 세계의 노력을 촉진하는 것이다. 대한민국을 포함한 유사입장국들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잘 드러나듯 글로벌 협력이 EU의 기후 문제 해결에 있어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한-EU 그린 파트너십과 전 세계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EU의 전략적 프로그램인 EU 글로벌 게이트웨이(EU Global Gateway)와 같은 이니셔티브를 통해 자원을 동원하고 협력을 확대하며 지속 가능한 전환을 뒷받침하는 것이 EU의 목표이다.

기후 위기의 시급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지구 온난화를 1.5°C로 제한한다는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전 세계적인 연대와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 EU는 공동 노력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모든 국가가 지속가능하고 기후 중립적인 미래를 추구하는 데 동참할 것을 촉구한다.

 

In the face of escalating climate risks, evidenced by Europe’s recent spate of climate-related disasters such as heatwaves, wildfires, floods and droughts, underscore the critical need for immediate action against the climate crisis. The European Climate Risk Assessment announced last March reveals the urgent need for action against the stark reality that Europe is warming twice the global rate, potentially facing a 3-degree temperature rise even in the best-case scenario. 

Amidst this urgency, fossil fuels remain the primary driver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constituting 80% of the global energy supply. The European Union (EU) is spearheading ambitious initiatives, anchored by the European Green Deal framework, to combat climate change and achieve climate neutrality by 2050. Key legislative measures, including the European Climate Law and the “Fit for 55” package, underscore the EU’s commitment to reducing net greenhouse gas emissions by at least 55% by 2030 through a sustainable, clean energy transition.

Central to this energy transition is the REPowerEU plan, which aims to accelerate Europe’s clean energy transition by diversifying energy sources and investing close to EUR 300 billion in renewable energy. Notably, the EU pledges to increase the share of renewables in its energy mix to 45% by 2030, signaling a monumental shift towards sustainable energy. 

Emphasising the global nature of the climate crisis, the EU is actively engaging in climate diplomacy with its partners. At international fora notably the UNFCCC COPs, the EU showcased its commitment to phasing out of fossil fuels and promoting renewable energy worldwide. Through initiatives like the Global Pledge on Renewables and Energy Efficiency, the EU aims to catalyse global efforts towards climate neutrality. Global cooperation emerges as the linchpin for addressing climate challenges, as underscored by the EU’s strategic partnerships with like-minded countries like the Republic of Korea. Through initiatives such as the EU-RoK Green Partnership as well as the EU Global Gateway – EU’s strategic programm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orldwide, the EU aims to moblise resources, increase cooperation, and support sustainable transitions. 

As the urgency of the climate crisis intensifies, global solidarity and cooperation are imperative to achieve the shared of limiting global warming to 1.5 °C. The EU underscores the necessity of collective efforts and invites all nations to join in the pursuit of a sustainable, climate-neutral future.

 

 

노부오 400.jpg

 

글로벌 에너지와 기후위기 : 승자와 패자

Global Energy and Climate Crises : Winners and Losers

노부오 타나카 / 前 국제에너지기구(IEA) 사무총장
Nobuo TANAKA / Executive Director Emeritus, The 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

 

국제에너지기구(IEA, International Energy Agency)에 따르면 우리는 최초의 전지구적 에너지 위기 속에 있다. 

기후위기 또한 동시에 펼쳐지고 있는 가운데, 전 세계 많은 국가들이 205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 넷제로(Net Zero) 달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IEA는 화석연료 수요가 2030년 이전에 최고조에 달한 후 하락세에 접어들 것이라 전망한다. 

이러한 이중 위기 속, 승자와 패자는 존재한다.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힘입은 미국과 리파워EU(REPowerEU) 정책에 힘입은 유럽연합(EU)이 승리를 거둔 가운데 러시아는 패자가 될 것이다. 중국과 인도는 재생에너지 초강대국이 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인도는 키신저(Kissinger) 전 미국 국무장관이 권고한 대로 IEA 가입을 추진 중이다. 사우디아라비아는 그린수소와 블루수소에 투자하고 있으며, 애플을 위시로 한 가팜(GAFAM)은 공급망 전반의 탈탄소화를 통해 승자가 되었다. 토요타는 과연 승리할 수 있을까? 우리는 친환경 산업정책 경쟁의 시대에 있다. 

화석연료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에너지시스템의 전환을 선언한 COP28를 통해 우리는 탈탄소화를 향한 진전을 엿볼 수 있었다. 그렇지만 안심할 수는 없다. 한국과 일본이 승리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양국은 석유와 천연가스를 전량 수입하는 나라이다. 재생에너지원은 한정적이다. 따라서 실마리는 청정수소와 선진 원자력 시스템에 있다.

한일 양국은 과거 함께 액화천연가스(LNG) 글로벌 공급망을 구축했던 것처럼 청정수소 글로벌 공급망 구축을 위해 협력할 수 있다. 수소의 황금기가 도래하고 있다. 

탄소중립 시대의 에너지안보에 중요한 것은 석유가 아니라 수소 저장 및 핵심광물 공급망이다.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원으로서 원자력의 매력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비추어 볼 때 원자력이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1) SMR의 사고위험 최소화, (2) 방사성폐기물 관리, (3) 핵 확산 방지의 세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만 한다. 

미국 아이다호 국립연구소(Idaho National Laboratory)가 개발한 일체형고속로(Integral Fast Reactor) 및 파이로프로세싱(pyro-processing, 건식처리기술)이 지속가능한 모델의 예라고 할 수 있다.

한-미-일 3국은 지속가능한 원자력 모델 개발을 위해 협력해야 한다. (1) 일체형고속로와 파이로프로세싱, (2) 동북아시아의 오커스(AUKUS)로서 핵추진잠수함 개발, (3) 북한 비핵화를 위한 협력이 그 주제가 될 수 있다. 캠프 데이비드에서 있었던 3국 정상회담의 후속 프로젝트 중 하나로 원자력 협력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The 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 says we are in the middle of the First Global Energy Crisis. 

We are also in the Climate Crisis while many countries aiming at Net Zero CO2 Emission by 2050. The IEA says that Fossil fuels will face peak demands in this decade. 

There are winners and losers in the dual crises. Russia will be a loser, while the US with IRA and EU with REPowerEU are winners. China and India try to be Renewable Super Powers. India is joining the IEA as Kissinger recommended. Saudi Arabia invests in green and blue hydrogen. Apple or GAFAM are winners by decarbonizing their whole supply chains. Can TOYOTA win? This is an age of Green Industrial Policy competition. 

COP28 showed progress for decarbonization by announcing transitioning away from fossil fuels in energy system. And yet, we cannot be complacent. How can Japan and Korea become winners? We are 100% importer of oil and natural gas. Renewable energy sources are limited. Key is Clean Hydrogen and Advanced Nuclear system. 

Japan and Korea can cooperate for building the global supply chain of clean hydrogen as we did for Liquified Natural Gas (LNG). A golden age of hydrogen is around the corner. Energy Security measures in Carbon Neutral world is not about petroleum but Hydrogen storage and Critical Mineral supply chain. 

Nuclear becomes more popular for carbon neutral. And yet, after the Fukushima accident Nuclear can only be a “sustainable” energy under three additional conditions: minimum risk of accident by SMR,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and non-proliferation. 

The Integral Fast Reactor and Pyro-processing which was developed by the Idaho National Laboratory of the US is one of the sustainable models.

Japan, Korea and the US should work together to develop a sustainable model of nuclear power. (1) Integral Fast Reactor and Pyro-processing, (2) developing nuclear propulsion submarine as North East Asian AUKUS and (3) collaborating for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Trilateral Summit of three countries at Camp David must pick up nuclear collaboration as one of it’s follow up projects.

 

 

유연철 400.jpg

 

에너지 전환의 글로벌 트렌드
Global Trend on Energy Transition

유연철 /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 사무총장
YOO Yeonchul / Executive Director, UN Global Compact Network Korea

 

글로벌 기후위기의 심각성은 상징적으로 2023년도의 여름이 기상관측 역사상 가장 더웠다는 점에서 알 수 있겠다. 

이러한 기후위기의 대응으로는 첫째, 화석연로로부터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 둘째, 선형경제(linear economy)로부터 순환경제(circular economy)로의 전환 및 셋째, 정의로운 전환(just transition) 등이 긴요하다. 에너지 전환과 순환경제로의 전환은 우리로 하여금 ‘변화’를 촉구하고 있으며, 정의로운 전환은 취약계층과의 ‘공존’을 강조하고 있다. 

에너지 전환의 글로벌 트렌드로는 우선 민간부문에서 활발한 투자와 기술개발로 인해 화석연료로부터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정부간 논의에서는 작년 12월 두바이 개최 제28차 기후변화 당사국통회에서 지금까지 논의해 왔던 ‘화석연료’의 퇴출(phasing out ‘fossil fuel’) 대신에 의장국인 UAE와 산유국 등이 제기한 화석연료’배출’퇴출(phasing out fossil fuel ‘emissions’)’로 논의를 전환시키고 ‘에너지 중립성’을 강조하면서 에너지 전환이 새로운 도전을 맞이하고 있다. 
에너지 전환의 또다른 추세는 순환경제로의 전환과 맞물려 동시에 추진되고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전기자동차로의 보급확대 등을 통해 에너지 전환을 도모하면서, 동시에 전기자동차의 핵심인 배터리를 재활용하여 순환경제를 추진하면서 자원 절약 등 보다 친환경적으로 에너지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전환 추진과정에서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정의로운 전환’도 함께 추진되어야 전환이 보다 순조롭게 이행될 것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로드맵이 아직 없는 상황으로, 향후 이와 관련된 논의와 계획이 조속히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Climate change has apparently become one of the most serious global crises in terms of a meteorological milestone of 2023: the highest summer temperatures observed in history. 

In response to this urgent crisis, three pivotal strategies emerge: (1) the imperative transition from fossil fuels to renewable energy sources, (2) the fundamental shift from a linear to a circular economy model, and (3) the paramount importance of ensuring a just transition. The call for energy transition and embracing a circular economy emphasizes the necessity for embracing "change," while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of fostering "coexistence" with vulnerable communities. 

A notable global trend in energy transition is the accelerating momentum towards renewable energy sources, fueled by robust investments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s within the private sector. However, recent governmental deliberations, notably at the 28th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convened in Dubai last December, have steered discourse away from the conventional “phasing out fossil fuels” rhetoric towards a nuanced dialogue surrounding "phasing out fossil fuel 'emissions.'" This paradigm shift, championed by the host government and presidency, the United Arab Emirates, and fellow oil-producing nations, underscores the critical notion of energy neutrality and introduces fresh challenges to the energy transition narrative. Concurrently, the transition towards a circular economy seamlessly aligns with the trajectory of energy transition. For instance, the widespread adoption of electric vehicles ov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unterparts not only advances energy transition but also propels a circular economy through avenues such as battery recycling and resource conservation, thereby fostering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Moreover, a just transition framework, imperative to navigate this transformational period, necessitates steadfast support for vulnerable populations. Nonetheless, the absence of a definitive roadmap highlights the pressing need for substantive discussions and coordinated planning to facilitate a seamless transition.

 

 

최연우 국장 400.jpg

 

에너지 탄소중립 정책방향과 산업계 영향
Energy Carbon Neutrality Policy and Industry Impact

최연우 /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정책실 에너지정책관
CHOI Yeon Woo / Director General for Energy Policy,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최연우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정책관은 에너지, 산업 부문의 탄소중립을 위한 정부 정책방향을 다루고자 한다. 정부는 다양한 무탄소 에너지의 조화로운 활용을 통해 탄소중립을 달성하면서 에너지안보도 강화하겠다는 업무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 강연에서는 탄소중립과 에너지안보를 모두 달성하기 위한 무탄소 에너지 대전환과 글로벌 확산, 공급 역량 강화 계획 등 정부 정책과 그로 인한 산업계 영향을 짚어본다.

 

CHOI Yeon Woo, Director General for Energy Policy,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delves into the government's strategic approach towards achieving carbon neutrality in the energy and industrial sectors. The government has unveiled plans aimed at bolstering energy security while simultaneously attaining carbon neutrality through the balanced utilization of diverse carbon-free energy (CFE) sources. This presentation elucidates government policies and their ramifications on industrie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transition to CFE sources as a means to achieve both carbon neutrality and enhanced energy security. Additionally, it addresses plans for global dissemination and strategies for bolstering supply capacity.

 

 

이영석 400.jpg

 

대한민국의 탄소중립 목표와 기후변화정책 방향
South Korea’s Goal of Carbon Neutrality and Climate Change Policy Direction

이영석 /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 기후변화정책관

LEE Young Seok / Director General for Climate Change Polic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Ministry of Environment

 

이영석 기후변화정책관은 H.eco Forum 2024에서 2050 탄소중립과 2030 국가 중장기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대한민국 정부의 정책방향과 주요 정책과제들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그간 환경부에서 추진해온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소개하고, ‘탄소중립기본법’ 및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을 필두로 하는 현재의 제도적 기반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2024년 환경부가 중점을 두고 있는 배출권 거래제, 무공해차 확대, 순환경제 등의 정책과제들을 소개하며 탄소중립과 녹색성장을 향한 정부의 의지를 표명한다.

 

At the H.eco Forum 2024, Lee Young Seok, Director General for Climate Change Polic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ill outline the Korean government's policy direction and key policy tasks in achieving carbon neutrality by 2050 and meeting the national mid-and-long term GHG reduction targets by 2030. He will introduce the climate change response strategies spearhead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examining the existing institutional framework led by the “Framework Act on Carbon Neutrality” and the “Framework Plan for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Finally, he will shed light on the policy priorities for 2024 such as emission trading systems, expansion of zero-emission vehicles, and the circular economy. Throughout his presentation, the Director General will underscore the government's commitment to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홍종호400.jpg

 

기후위기 시대 한국경제 대전환
Transformation of the Korean Economy in the Era of Climate Crisis

홍종호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

HONG, Jong Ho / Professor of Economics,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기후변화는 21세기 인류가 직면한 가장 큰 위험요소다.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수단은 두 가지다. 첫째, 온실가스를 줄이는 ‘완화’고, 둘째, 뜨거워진 지구에 맞춰 살아가는 ‘적응’이다. 완화는 기후위기 대응 과정에서 국가와 기업의 탈탄소 ‘전환 리스크’와 직결돼 있고, 적응은 이상기후 피해에 따른 ‘물리적 리스크’와 연결돼 있다. 

전 세계는 그린과 디지털 기술이 국가 신산업 정책과 접목되는 대전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2020년대 세계 경제는 탈탄소 무역규범 질서로의 완전한 재편이 예상된다. 이는 한국 경제와 기업에 커다란 위협임과 동시에 새로운 시장과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이라는 기회를 제공한다.


Climate change poses the paramount challenge to humanity in the 21st century. Addressing this pressing issue involves two main strategies: mitigation, aimed at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adaptation, focused on adjusting to the warming planet. Mitigation efforts involve tackling the transition risks encountered by nations and businesses as they move towards decarbonization, while adaptation deals with the physical risks stemming from climate-related anomalies. 

On a global scale, we are witnessing a transformative era characterized by the convergence of green and digital technologies with national policies for new industries. The 2020s are anticipated to herald a complete reshaping of the global economy towards a decarbonized trade norms order. This presents both significant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the Republic of Korea’s economy and its businesses, offering potential for new markets, job creation, and local economic revitalization.

 

김기홍 400.jpg

 

최근 에너지 전환 현황 및 주요 기업의 대응 방향
Recent Trends of Energy Transition and Major O&G and Utilities Players’ Response

김기홍 / 맥킨지앤드컴퍼니 파트너

KIM Gihong / Partner, McKinsey & Company

 

지난 12개월 동안 IRA, 러우전쟁, 경기침체, 공급망 이슈 등 다양한 예상치 못한 상황으로 인해 중대한 혼란이 발생하여 에너지 전환에 많은 불확실성이 조성되었다.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전환은 진행 중이며, 새로운 에너지의 성장은 이루어지고 있다. 물론 기존 화석연료도 계속 필요하고 지속될 것이다. 미래의 에너지 시스템은 주로 재생 가능 에너지와 새롭거나 대체 연료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적인 전기화로 시작하는 수요의 구조적 변화를 수반한다.

해당 전환에 대해 2035년까지 18조 달러 수준의 대규모 투자가 예정되어 있으며, 이는 많은 기업들에게 큰 기회로 다가올 수 있다. 다만, 보조금에 의존하는 많은 새로운 기술의 경제성에 대해 지역별로 큰 차이가 있다. 특히 수소전해조, 해상풍력, SMR, EV배터리 등의 영역에서 예상보다 가격 하락이 둔화되는 등의 상황을 고려했을때 친환경 에너지 관련 어디서 어떤 비지니스 모델로, 어떻게 추진하느냐가 더욱 더 중요해지고 있다. 

글로벌 에너지 기업들은 전환에 대응해 네 가지 주요 전략 (Resource specialist, Conservative transitioner, Front runners, Low carbon pure play) 중 하나를 채택하고 있으며, 기업은 저탄소 에너지 포트폴리오로의 전환 규모와 속도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여 의도한 전략 방향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Major disruptions in past 12 months, a series of unexpected events—including the Inflation Reduction Act, Russo-Ukrainian War, economic downturns, and supply chain disruptions with competing priorities creating uncertainty.  

Despite these uncertainties, Energy transition under way, growth from new energies but lasting hydrocarbons need. The future energy system will predominantly consist of renewable energies and new or alternative fuels, including a structural change in demand starting with overall electrification. 

In light of this transition, massive levels of investment required ($18T) till 2035, but wide differences in regional mix with economics of many new technologies reliant on subsidies. This massive influx of capital represents a substantial opportunity for businesses. This is especially true in sectors like hydrogen electrolyzers, offshore wind, small modular reactors (SMR), and EV batteries, where cost reductions are not slowing more than expected. Given these dynamics, determining where and how to purse environmentally friendly energy-related business models becomes increasingly vital. 

In response, global energy companies are aligning with one of four strategic paths: Resource Specialist, Conservative Transitioner, Front Runner, or Low Carbon Pure Play. Each company must validate its strategic direction, deciding on the scale and speed at which it will pivot towards a low-carbon energy portfolio.

   

 

크리스티왕 400.jpg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해상풍력 발전단지 사례 발표

Ørsted Case Study on Pioneering Offshore Wind in Asia Pacific

크리스티 왕 / 오스테드 대만 의장
Christy WANG / Chairperson of Ørsted Taiwan

 

최근 오스테드는 대만에서 900MW 규모의 창화 1 및 2a 해상 풍력 발전단지를 완공했다. 오스테드 대만 의장인 크리스티 왕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 최대 해상 풍력 발전단지 중 하나를 개발, 건설 및 운영하는 과정에서 얻은 경험과 교훈을 공유하고자 한다. 

오스테드는 '녹색 에너지로 움직이는 세상 만들기'라는 비전을 가지고 있으며, 이번 발표에서 크리스티는 오스테드가 지난 10년간 석탄 중심의 유럽 공기업에서 친환경 에너지 기업으로 성공적으로 전환한 과정을 소개할 예정이다. 또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녹색 에너지 전환에 대한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한국의 해상 풍력 발전 산업이 안정적으로 재생 에너지를 생산하면서 동시에 장기적인 투자 유치와 일자리 창출을 할 수 있는 기회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Following the recent completion of Ørsted’s 900 MW Greater Changhua 1 and 2a offshore wind farms in Taiwan, Christy Wang (Chairperson of Ørsted Taiwan) shares the experience and learnings from developing, building and operating one of Asia Pacific’s largest offshore wind farms. 

Ørsted’s vision is to create a world that runs entirely on green energy. Christy will reflect on the company’s transformation from a coal-intensive European utility to a green energy major in only a decade. She will discuss the path to progress for the APAC region’s green transition and the opportunities for a thriving offshore wind industry in Korea to generate reliable renewable energy, attract long-term investments, and create jobs.

 

 

정규창400.jpg

 

태양광의 현재와 미래, 넷제로를 위한 목표
The Present and Future of Solar PV, Goals for Net Zero

정규창 / 한화솔루션 큐셀부문 사업지원팀장

JEONG Gyu Chang / Team Manager of Business Supporting Team, Hanwha Solution (QCELLS)

 

주요 국가의 태양광 보급 및 산업정책을 통해 탄소넷제로의 핵심인 태양광의 현재와 미래 전망을 살펴보고자 한다. 향후 태양광의 보급 확대와 계통(Grid)이 공존하면서 태양광 전력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전력시장 혁신, ESS 보급 등을 제시한다. 또한 전세계가 청정에너지로의 전환을 위한 필수재를 만드는 기업인 한화솔루션의 자체적인 탄소넷제로를 위한 노력들과 다양한 사업 등을 설명한다. 태양광 기술 리더십 강화를 위해 전력 변환효율을 높이려는 노력과 함께 미국의 솔라허브 구축 등 친환경 투자 등을 확대하는 내용을 다루고자 한다.

 

The goal of this presentation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outlook of photovoltaic (PV) energy, a key element in achieving net-zero carbon neutrality, by looking into the PV deployment status of today and associated industry policies of major countries. With the use of solar PV expected to increase in conjunction with grid development, power market reform and energy storage system (ESS) deployment are suggested as ways to enhance the value of photovoltaic power. Furthermore, the efforts and diverse projects that Hanwha Solution is undertaking for carbon neutrality, as a producer of essential materials for the global transition toward clean energy, will be shared. These will include the company’s endeavors to augment power conversion efficiency to further solidify its leading position in the solar PV technology domain, as well as the attempts to bolster green investment, exemplified by the establishment of a ‘solar hub’ in the United States.

 

 

정동욱 400.jpg

 

왜 소형모듈원전인가? 
Why Do We Need SMRs?

정동욱 / 중앙대학교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

JERNG Dong-Wook / Professor, School of Energy Systems Engineering, Chung-Ang University

 

탄소중립은 21세기 에너지 정책의 핵심이다. 국제에너지기구는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공급 전략으로 에너지의 전기화와 무탄소 에너지를 이용한 전기생산을 제시하고 있다. 인류의 가장 현실적인 무탄소 에너지는 재생과 원자력 뿐으로 미래 에너지는 재생과 원자력이 주축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형 원전에 비해 소형모듈원전은 탁월한 안전성과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어 재생과 원자력의 조합으로 무탄소 에너지 공급체계를 구축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다수 모듈 조합을 이용하여 전력 수요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원격지, 산업단지 등에 분산전원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특성으로 전세계 에너지 산업계가 소형모듈원전을 주목하고 있다.

 

Carbon neutrality is the centerpiece of energy policies in the 21st century. The 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 recommends the electrification of energy based on the carbon-free power generation as an essential energy supply strategy for carbon neutrality. Being the most practical candidates for zero-carbon energy sources, renewables and nuclear power are anticipated to serve as primary pillars of the future energy sector. Small modular reactors (SMRs) are an emerging technology that can outshine current commercial nuclear power plants, being equipped with superior safety and flexibility in power generation. As one of their merits, SMRs can harmonize with renewables to form the basis for zero-carbon energy supply systems, complementing the intermittency of renewable energy. Utilizing multi-module configurations, SMRs can also respond to power demands more flexibly than large nuclear power plants. In addition, they can be deployed as a distributed power source in remote areas, industrial complexes, etc. Recognizing these diverse features, the global energy sector is turning its attention towards SMRs.

■ 'H.eco Forum 2024'은 대면 행사로 개최되며, 유튜브 실시간 중계는 진행되지 않습니다.
■ 'H.eco Forum 2024'의 참가비는 무료입니다.

행사는 실물티켓이 제공되지 않으며 제출하신 신청정보를 통해 현장에서 본인 확인이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 유의사항  

▶ 사전등록 완료 참가자에 한해 세션 참가가 가능하며, 오찬이 제공됩니다.(※ 선착순 200인 한정, 비건식을 포함한 뷔페 제공)
▶ 오찬은 식권 보유자에 한해 제공되며, 식권은 등록데스크 운영시간 내 (오전 8:30~9:30) 등록데스크에서 배부합니다.
▶ 참가가 확정된 참석자에게는 행사 개최 전 사무국에서 등록 확인 안내 문자를 발송드릴 예정입니다.
▶ 참가확인증은 포럼 모든 일정에 참여한 사전등록자에 한해 행사 종료 후 발급됩니다. 
    행사 종료 후 사무국 메일(heraldeco@heraldcorp.com)로 요청주시기 바랍니다.
▶ 탄소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대중교통 이용을 권장하며, 이에 따라 주차권을 제공하지 않으니 양해 바랍니다.
 

※ 문의 : H.eco Forum 사무국 (heraldeco@heraldcorp.com)